본문 바로가기

UIUX디자인/학습일지

[학습일지] 221107 기록 | UX기초 7-3.MVP

오늘 공부

  • 강의 [UX기초1] 7-3 MVP
  • 강의 [UX기초2] 챕터1. UX & UX Researcher
  • 강의 [UX기초2] 챕터2. 리서치에 대한 마음가짐
  • 강의 [XD] 챕터1. Adobe XD, 챕터2. 아트보드와 레이어
  • 강의 [XD] 챕터3. 도형과 텍스트 - 3-3 닫힌도형 그리기

 

둘째 주가 되었다! 그룹 프로젝트 시작의 날, 3명이 한 그룹으로 배정받았다. 열심히 해내자아아.. 첫 주는 이것저것 새로운 것 익히고 과제하느라 바쁘게 지나갔다.  제출하고 나니까 부족한 점이 왜이렇게 많이 보이는지..ㅠㅠ A/B 테스트 가설 부분도 잘못 이해하고 쓴 걸 출근하면서 깨달았다. 그리고 기타 등등.. 지금 보니 사소한 거에 신경써서 예쁘게 만들려고 노력하다가 내용에 집중을 못 한 것 같다(심지어 별로 예쁘지도 않음) 반성하고 더 나아지자!

 

버스에서 서서 강의 듣다가 미주신경성 실신 씨의 전조 증상 오랜만에 등장.. 앉아있을 때만 들어야겠다ㅎ.. 약한 몸뚱아리야..

 

 


[UX기초2] 챕터1. UX & UX Researcher 챕터2. 리서치에 대한 마음가짐

홍익표 강사님, 무신사 UX Researcher

 

UX리서쳐에 대한 것, 리서쳐가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 배웠다. 현업 얘기도 많이 해주셔서 유용했다. 관심이 가는 직무다!

사용자는 이럴거야~ 가 아니라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조사할 것. 추측하지 말 것!

 

 

 

 

 

 

 

 

[UX 기초]

 

7-3. MVP

MVP(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 기능의 제품.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유의미한 사용자 피드백을 얻기 위한 최소한의 제품

(왼)MVP를 잘 설명해주는 사진  (오)한 단계만 부분적으로 만드는게 아닌 전체 중 일부!

 

MVP Process

 

Step1. 핵심기능 정의

flow에서 범위를 정한다. 매일 쓰는 기능과 자주는 쓰지 않는 기능이 있으니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능을 기반으로

Step2. 제품 개발

Lo-fi, Hi-fi, 데모 비디오, 컨셉 시나리오 등 컨셉, 가설을 확인할 수 있는 수준으로

무조건 Hi-fi만이 좋다고 할 수 없다. 정보구조 기능 등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렇게 할 건데 어떨까? 라는 가정으로 만들기 때문에 Lo.fi가 피드백에 더 좋은 방법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Step3. 검증, 인사이트 도출

중간 단계라고 봄. 

In-depth interview : 마주 앉아 깊은 대화

FGI(Focus Group Interview): 1대 다수. 좌담회처럼 의견을 주고 받는다

Concept studies: 우리 컨셉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Desirability studies: 실제로 이런 니즈를 가지고 있을지

 

 

 

 

 

 

 

 

좋은 사례: Dropbox

환경 분석 및 문제 정의 

2006년대, 수많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는데 왜 사용하지 않을까?

-> 사용하기 어려워서 ->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컨셉 정의 및 데모 비디오 공유

MVP 데모 비디오 공유를 통해 배운 것

가장큰리스크는 아무도 원하지 않는 제품을 만드는 것.
이제품을 런칭하지 못하는 것보다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는 것이 더 치명적이다.
가능한 사용자의 의견을 빨리 얻는게 중요하다고 회고하고 있다.

 

만족스러운 사용경험을 통한 유저 증가

심지어 내가 필요한지도 몰랐어요!
친구에게 듣고 써보고 주변에 알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