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 11.3
일기 다썼는데 날아감..하하. 퍼소나는 자세히 알고싶었던 부분이었다. 가끔 취미로 소설 쓰거나 할 때도 비슷하게 머릿속으로 그려보곤 하는데 여전히 어려운 것 같다~ 계획했던 양의 공부를 끝내긴 했다. 많아서 힘들었지만 대견하다! 과제도 있고 하다보니 앱을 사용할 때 평소보다 더 주의깊게 관찰하고 있다.
학습 시간 : 약6시간
▶강의) UX기초1_ chapter2-2 ~ 2-3 사용자조사
▶강의) UX기초1_Chapter3. 모델링 - 사용자 여정 지도(User journey map), task flow, 스토리맵
▶강의) UX기초1_Chapter4. Persona, Chapter5.디자인컨셉, 정보구조
▶학습일지 작성
▶과제) 1-1. UX디자인 정의하기
▶강의) 피그마_chapter1 소개와 설치
▶과제)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 마!』 e북 구매, 조금 읽음
▶과제 질문 (1-2)
나중에 편하게 복습하려고 두개로 글 나눔
2022.11.03 - [UIUX디자인/학습일지] - [UX기초1]Chapter2.사용자 조사, Chapter3. 모델링 / 학습일지 2022.11.03
[UX기초1]Chapter2.사용자 조사, Chapter3. 모델링 / 학습일지 2022.11.03
오늘 한 것(이 글 작성 시점)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마! e북 구매 1주차 과제 1-1_나의 관점에서 UX디자인 정의하기. 완료 강의 - 이론,기초파트 2-2 ~ chapter3 과제1-2 질문 남김 강의노트 Chapter2. 사용
p2do.tistory.com
강의노트
Chapter4. 퍼소나 (Persona)
1.Persona란?
우리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혹은 타겟 유저에 대한 정의
A persona is a fictional, yet realistic, description of a typical or target user of the product. A persona is an archetype instead of an actual living human, but personas should be described as if they were real people.
우리가 생각하는 우리 서비스의 사용자. 같은걸 보면서도 각자의 생각에 따라 다르게 볼 수 있다.
우리 서비스의 타겟 유저가 누구인지 파악하는게 중요!
만들어지는 과정
일반적으로 사용자 조사 실행 후 만들어진다. (사용자 조사없이 만든 퍼소나는 신뢰성이 없다.)
사용자 조사 결과 자료->필터링->퍼소나 완성
필터링 - 우리 서비스가 매장에서 커피를 주문하는 사람만 커버한다면, 집에서만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필요가 없다.
너무 많이 만들면 오히려 사용하기 더 어려움. 여러명을 만들 경우 Primary 퍼소나가 누구인지 결정하기.
2-> 뭘 선택하고 빼는가에 대해 중요한 기준이 된다.
4-> 감정이입하며 사용자 관점에서 볼 수 있다.
눈이 오니까 따뜻한걸 마시겠지? 응아님
마침 오늘 인스타그램 보다가 얼죽아짤로 접했는데 강의듣다 나와서 웃었다!
퍼소나는 대표 사용자의 니즈를 표현한다.
치킨
시골(높은 연령층) - 튀긴건 소화하기 힘들다. 튀김옷이 두꺼운게 싫다. 육향이 나는게 좋다
도시 - 후라이드,양념은 지겨워. 야식으로 먹게 늦게 배달이 되었으면 좋겠다.
퍼소나의 형태들
밑엔 희미하게 좋아하는 브랜드
<casual listener hard core> 부분은 해석의 여지가 있어 조금 모호한 부분. 안좋은예
음악을 두루 듣기엔 시간이 부족해. 음악적 성향, 레베카가 음악을 들을 때의 골,동기
Chunky(덩어리) _ 세세하게가 아닌 크게 유저를 나누는 퍼소나.
유용한 방법 중 하나
2. 퍼소나 만들기
신중하게 만들 것
Step1. Define a target user type
어떤 타겟을 몇 명이나 만들까
1) 주요 사용 시나리오 유즈케이스를 커버 할 수 있는 ‘대표 퍼소나 타입’을 정한다.
2) 각 퍼소나마다의 핵심 니즈를 한 문장으로 작성한다.
예시)
o 서비스 타입: 배달 음식 중계 서비스
o 서비스 사용자 타입: 주문자(User Type A) / 음식점 운영자(User Type B) / 서비스 운영자(Service vendor)
Step2. Bio
기본 정보 작성
이름이 편향된 정보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사진을 넣는게 객관적 요소를 방해할 수 있을 것 같다면 생략하는 등 경우에 따라 조절. 나이도 20대,30대 등으로 표시하거나 등
사진 선택에 주의할 점 - 연예인 사진, 캐리커쳐, 만화 등은 객관성을 해칠 수 있다.
Step3. Needs and frustrations
필요한 것, 불만사항
Step4. Repeated or missing fact check
중복작성, 누락내용이 없나 확인하기
* 퍼소나는 한 페이지안에 압축해서 쓰다보니 공간이 부족하다. 압축~
* 벽에 붙여놓고 자주 보고 고치는걸 추천 (기본정보를 바꾸진말고)
Step5. Add personality
개인 선호도, 기술사용 능력 등 추가
*personality _ 자유롭게 쓰는걸 좋아하는 사람인 것 같다면 넣을 수 있겠지만, 섣불리 정의하는게 위험할 거 같다면 안 넣어도 됨
Step6. Additional info.
퍼소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 추가하기.
+Branching
주문 행위는 같으나 왜 주문하는가는 다르다.
퍼소나의 10요소
한페이지에 응축해서 쓰기!
퍼소나의 활용
가설1: 랜딩페이지 최상단엔 최근 음악을 먼저 보여주면 좋을 듯
가설2: 인기 급상승 음악 노출이 더 좋을듯
퍼소나를 통한 의사결정: 어릴수록 새 노래에 관심이 높으니, 우리 퍼소나인 10-20대에 맞춰 인기 급상승 섹션을 맨 위에 노출해보자.
퍼소나를 기반으로 더 신뢰도가 높은 가설을 세울 수 있다.
Chapter5. 디자인 컨셉 Design Concept
1.디자인 컨셉이란?
스케치, 이미지, 텍스트로 이루어진 핵심 아이디어이다.
- 내가 생각하는 자동차는 이거야! 내 생각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 자료 등을 활용
2.컨셉 디자인
> 현실성은 떨어져도 나가고자하는 방향성을 극대화해서 보여주는 디자인
제품의 방향성 시각화,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제품 예상도, 함께 일하는 관계자들의 의견 듣기, 시장의 반응 확인
컨셉디자인 - 이상과 현실의 중간정도
3.UX 디자인 컨셉
목표(Goal), 범위(Scope), 정황(Context), 전략(Key feature)
4.UX design concept 예시
UX design concept document
UX design concept diagram
이런 컨셉의 디자인을 할꺼다! 까지
UX design concept map
마인드맵처럼 컨셉과 관련된 모든 것을 정리해 볼 수 있는
5. 컨셉 중요 3요소
User, Provider, Operator
휴대폰 제조회사라면, OP:휴대폰제조사, PV: 대리점or휴대폰 - User와 직접적 상호작용
Chapter5 - 2. 정보구조
1. 정보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기능의 관계와 순서를 정의하는 것.
정보구조 디자인을 할 때 생각해야 하는 것
context: 비즈니스전략,목표,운영환경 정보가 어디 표현되는가(웹?모바일? 공간이 많은가?)
content : 정보의 종류,형태,양. 사진이냐 동영상이냐 등
user : 사용자특성,니즈,과업 성격,난이도 - 전문가 소프트웨어와 일반사용자 소프트웨어.
Discoveribility&Flexibility : 얼마나 잘 찾을 수 있게 배치하는가, 정보구조가 딱딱해서 새로운 컨텐츠를 수용할 수 없다면 안됨
2. 정보구조의 종류
1)Broad structure : 얕고 많음
- 사용의도 명확, 전문가용, 정보량 많을 때, 제공하는 정보의 연관성 낮음
ex.연말정산 서비스.
2)Narrow structure : 적고 깊음
공간적인 제약이 많은 모바일에서 많이 사용한다.
휴대폰에서 PC버전으로 볼 때 메뉴가 너무 많아 힘들어지는 경험
중요한 것: 메뉴 간 연관도가 높을 것(사용자가 잘 찾기 위해)
지금 구조를 보고 전략적으로 접근 - 릴스를 강조하자! 단순하게 하자! 쇼핑메뉴를 엔트리에서 보는걸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등. > 쇼핑을 브라우저에 넣기, 메뉴 빼기, 홈에도 릴스만들기
3. 카드소팅 Card sorting
유저의 멘탈모드와 잘 맞는지 검증하는 과정. 개방형, 폐쇄형으로 나눈다.
1)개방형 카드소팅
1. 미리 준비한 카드 보여주기
2.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것 끼리 그룹핑해주세요 (시간제한. 5~10분쯤)
3. 그룹핑이 끝나면 그룹의 이름 정의
2) 폐쇄형 카드소팅
1. 미리 준비한 메뉴카드와 그룹이름
2. 각 카드를 분류해달라 (시간제한
3. 분류한 이유, 이름을 변경할 수 있으면 어떻게 하고싶은지
장점
- 멘탈모델 엿볼 수 있다
- 정보구조를 유저친화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 다양한 가능성 ,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다.
'UIUX디자인 > 학습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기초1] Chapter7. 디자인 평가 및 테스트 | 1주차 과제 / 2022.11.06 (0) | 2022.11.06 |
---|---|
[UX기초1] Chapter 6. 인터랙션 디자인 / 2022.11.05 (0) | 2022.11.05 |
[UX기초1] 1주차 과제3,4 | 학습일지 / 2022.11.04 (0) | 2022.11.04 |
[UX기초1]Chapter2.사용자 조사, Chapter3. 모델링 / 학습일지 2022.11.03 (0) | 2022.11.03 |
[UX기초1]Chapter1.UX디자인의 기본 개념 ~ Chapter2-1 / 학습일지 2022.11.02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