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텀블벅 앱 소개
당신의 취향이 세상을 바꿉니다,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앱 텀블벅
크라우드펀딩이란?
창의적 아이템을 가진 초기 기업가를 비롯한 자금수요자가 중개업자(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의 온라인플랫폼에서 집단지성(The Wisdom of Crowds)을 활용하여 다수의 소액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
- 출처: INNOPOLIS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판매자(창작자)가 제작에 필요한 금액을 상품을 원하는 소비자(후원자)로부터 먼저 모으고, 후원 금액 목표치가 달성되면 제작 및 배송이 시작되는 선 주문 후 생산 방식이다. 특성 상 핸드메이드 제품이나, 단행본 제작 등의 프로젝트가 주를 이룬다. 배송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표적인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어플로는 와디즈, 텀블벅, 카카오메이커스가 있다. 텀블벅은 2021년 5월에 출시된 나름 따끈따끈한 앱이다.
나는 와디즈, 텀블벅에서 각각 한 번씩 프로젝트 후원을 해본 경험이 있다. 앱 설치는 하지 않고 관심있는 작가님이나 창작자가 펀딩 진행 중이라고 홍보하면 웹 버전으로 주문(후원)하는 식으로.. 텀블벅 서비스는 최근에 이용했는데, 배송 예정일이 지나도 소식이 없어 답답해서 앱을 설치했다. 이런 경험을 해보니 스마트폰으로 웹 상에서 이용하는 것과 비교해 어떻게 편리하고 다른지, 펀딩 앱을 한번 분석해보고 싶었다.
02. 사용자 분석하기
데이터마켓 Dighty의 크라우드펀딩 앱 분석에 따르면 텀블벅은 여성(76.0%)이 주 사용층이며, 타 크라우드펀딩&핸드메이드 앱에 비해 10~20대(63.6%) 설치자가 가장 많았다. 10대(15.4%), 20대(48.2%)
와디즈는 남성(61.2%), 20~30대(60.4%)가 주 사용층이다. 같은 크라우드펀딩 서비스지만 사용층이 확연하게 달라 흥미로웠다.
03. 화면구성 분석
흰 화면에 검정색 깔끔한 무채색 계열이 주를 이루고, salmon 색상으로 일관되게 포인트를 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사용자에게 말을 거는 듯한 문구와 적당한 여백을 사용한 심플하고 간결한 디자인이 돋보인다.
[온보딩]
앱 설치 후 처음으로 마주하는 텀블벅의 첫 화면이다. 간단하게 로고만 보여주는 스플래시 화면 이후, 감각적인 사진과 환영 문구가 눈길을 끈다. 바로 로그인과 회원가입 화면으로 시작되지 않고, 긍정적인 멘트로 사용자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있다.
관심있는 카테고리 설정, 성별과 연령대 설정, 회원로그인&가입 페이지 3단계로 나누고 progress bar로 이 회원가입 과정에서 현재 어느 단계에 있는지, 완료 시점을 알 수 있게 보여준다. 첫 화면에서 보여주었던 문구를 그대로 이어가며 친근하게 말을 거는 느낌으로 일관성 있게 이끌어간다.
[메인화면 - 홈]
로그인 페이지를 지나 마주하는 화면이다. 로고와 검색 아이콘의 GNB, 5가지 탭, 5개의 bottom bar로 구성되어 있다.
홈 탭에는 자동으로 넘어가는 배너 밑으로 나의 관심 카테고리, 인기 프로젝트, 최근 본 프로젝트, 기획전, 마감임박 프로젝트 등 다양하게 분류된 모듈을 긴 스크롤 안에 넣어두었다. 그 중 인기/신규/마감임박 프로젝트는 상단 탭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인기/신규/마감임박 탭(동일한 구성) - 현재 후원 진행상황을 포인트 색상과 bar로 직관적으로 표시하며 프로젝트를 나열하였다. 상단의 분류 모듈 달성률, 에디터픽을 통해 프로젝트를 필터링하여 볼 수 있다.
공개예정 탭 - 공개예정 프로젝트의 경우 달성률 대신 인기순/최신순/공개임박순 가능한 정렬 필터를 배치하였다.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이 시작되었을 때 알림을 받을 수 있고 현재 몇 명이 알림을 신청 중인지를 표시하고 있다.
[카테고리]
bottom bar를 통해 이동 가능한 카테고리이다. 일관된 포인트 색상을 사용한 아이콘이 5*n 형태로 나열된다. 관심 설정에서 자주 찾는 카테고리를 상단에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순서 변경 또한 드래그 형식으로 쉽게 가능하다. 알림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으로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메인화면 - 홈] 프로젝트 상세보기 화면
프로젝트의 상세한 내용을 보는 페이지. 기본적인 정보와 판매자 프로필을 표시했다. 상위 탭은 첫 화면인 계획, 진행 중에 공지사항 등 업데이트 상황을 볼 수 있는 업데이트,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과 응원을 볼 수 있는 커뮤니티 탭, 관련 상품을 추천해주는 추천 탭으로 나뉜다. 하위에 있는 탭은 현재 계획 탭에서 해당 부분으로 스크롤을 이동시켜준다. 보통 선물 설명 탭에서 구성과 가격을 확인이 가능하다. 하단 고정되어 있는 CTA모듈에서 후원하기를 클릭해도 패키지 구성별 가격을 확인할 수 있다.
04. 텀블벅&와디즈 비교 - 와디즈와 어떻게 다를까
크라우드펀딩의 대표적인 앱 와디즈와 텀블벅의 홈화면과 상품모듈 화면을 비교해보았다.
와디즈는 카테고리를 상단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여 더 강조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밑으로 1칸씩 프로젝트(상품)을 나열하며 중간중간 최근 본 항목, 최근 검색 모듈이 위치한다. bottom bar의 중앙 부분에 프로젝트 개설 페이지인 와디즈 메이커 스튜디오로 가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고 느꼈다. 메이커 스튜디오의 '누구나 쉽게 새로운 도전을 시작할 수 있는 곳'이라는 카피에 맞춰 프로젝트를 개설하려는 비지니스 사용자에게도 초점을 맞춘 디자인인 듯 하다. 텀블벅의 홈화면은 '나의 관심 카테고리', '인기 프로젝트' 등 프로젝트 분류 문구를 정확하게 표현하며 덩어리로 묶어 한 눈에 보여준다.
상품 모듈의 경우도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텀블벅은 좀 더 여백이 많고 간결한 디자인, 와디즈는 검색, 정렬 등 기능이 많고 한 페이지에 다양하게 보여준다. 프로젝트(상품) 또한 더 적은 여백으로 많이 노출하고 있으며, 텀블벅에서 나타내는 요소에 추가로 카테고리, 창작자명(회사명)도 보여준다. 화면에 고정되는 플로팅 액션 버튼(FAB) 또한 세 종류나 나타나서 상대적으로 빽빽해보이는 구성이다. 두 어플 모두 주 사용층 타겟에 맞춰 디자인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는 더 간결한 쪽인 텀블벅의 UI가 마음에 든다.
05. 텀블벅의 개선점 찾기
분석하며 사용자를 생각한 UI라는게 느껴지는 지점들이 많아 전체적으로 참 마음에 들지만 소소한 몇 가지를 꼽아보았다.
- 상세페이지) '선물 설명' 용어가 조금 모호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점
상세 페이지의 선물 설명 탭은 구성되는 패키지와 가격에 대한 설명이 올라가는 부분이다. 선물 설명 부분은 목차 중에서도 가장 하단, 마지막 순서에 위치하고 있다. 탭을 통해 쉽게 해당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가격이나 구성 처럼 확 알 수 있는 표현이 아니다보니 '구성이 어떤지 어디서 보면 되지?'하고 처음에 헤맨 경험이 있다.
- 상세페이지) 커뮤니티 탭의 의도와는 다르게 사용하는 사용자
여러 프로젝트의 커뮤니티 탭을 살펴보니 [창작자 문의] 버튼이 상단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작자에게의 문의사항(배송받은 상품의 교환 요청, 구성에 대한 문의 등)을 커뮤니티에 게시하는 사용자가 상당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에서 문의할 경우 후원번호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문의하기를 통해 문의해달라고 창작자가 댓글을 달기도 한다. 커뮤니티 글 작성 페이지에서 이에 대한 유의사항을 표시해주긴 하지만 하단 고정된 등록 버튼에 가려지기 때문에 이를 지나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해당 유의사항이 잘 보이게 표시한다면 문의할 곳을 헷갈려 커뮤니티에 문의하는 사용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문의사항은 '창작자에게 문의'를 이용해야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 부분을 개선하여 간단하게 리디자인해보았다. 문의글은 이쪽으로~ 텀블벅의 일관된 상냥한 느낌의 문구를 사용하여 창작자 문의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을 상단에 표시했다.
'UIUX디자인 > 레퍼런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UI]레퍼런스 분석 05# 쑨 - 알바말고 단기알바 (1) | 2022.12.12 |
---|---|
[UX/UI]레퍼런스 분석 04# Nonogram.com | 네모로직 앱 비교 분석 (0) | 2022.12.05 |
[UX/UI]레퍼런스 분석 03# 카메라 앱 SNOW(스노우) (1) | 2022.11.28 |
[UX/UI]레퍼런스 분석 02# 밀리의 서재 (0) | 2022.11.21 |
[UX/UI]레퍼런스 분석 01# 트웬티 - 크리에이트 굿즈 마켓 모음앱 (2) | 2022.11.13 |